본 발명은, 내연 기관을 결합하기 위한 제1 입력 인터페이스(2)와; 제1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5)이며, 제1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5)은 제1 링 기어(5.1), 제1 유성 캐리어(5.3) 및 제1 태양 기어(5.2)를 샤프트로서 구비하며, 제1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5)의 제1 샤프트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2)와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는, 제1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5)과; 제2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6)이며, 제2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6)은 제2 링 기어(6.1), 제1 유성 캐리어(6.3) 및 제2 태양 기어(6.2)를 샤프트로서 구비하며, 제2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6)의 제1 샤프트는 제1 입력 인터페이스(2)와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는, 제2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6)과; 제1 가속 트랜스미션 섹션(8)이며, 제1 가속 트랜스미션 섹션(8)은 하나 이상의 제1 가속 단을 구비하며, 제1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5)의 제3 샤프트는 제1 가속 트랜스미션 섹션(8)의 입력부와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속 트랜스미션 섹션(8)과; 제2 가속 트랜스미션 섹션(9)이며, 제2 가속 트랜스미션 섹션(9)은 하나 이상의 제2 가속 단을 구비하며, 제2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6)의 제3 샤프트는 제2 가속 트랜스미션 섹션(8)의 입력부와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는, 제2 가속 트랜스미션 섹션(9)과; 출력 인터페이스(14)이며, 가속 트랜스미션 섹션(8, 9)의 출력부는 출력 인터페이스(14)와 상호 작용 연결되어 있는, 출력 인터페이스(14)와; 제2 샤프트들을 결합하기 위한 특히 실제의 또는 가상의 클러치 섹션(10)이며, 상기 제2 샤프트들이 하나 이상의 운전 모드에서 상호 지지되는, 상기 클러치 섹션(10)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유성 트랜스미션 섹션은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어 있는, 차량용 트랜스미션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includes a first input interface, an output interface, first and second speed ratio transmission sections, first and second planetary transmission sections, and a coupling section. The first input interface is arranged for coupling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 speed ratio transmission sections have respective inputs, respective outputs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output interface, and respective ratio stages. The first planetary transmission section has a first planet carrier arranged on a second shaft. The second planetary transmission section has a second planet carrier arranged on a fifth shaft. The coupling section is for coupling the second shaft and the fifth shaft such that they are supported against one another in at least one operating mode. The first planetary transmission section and the second planetary transmission section are arranged coaxially with respect to one another.
차량용 트랜스미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2018-08-28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