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드론용 폐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 전력계통과 연결이 되고, 드론용 폐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전장품으로 공급할 수 있게 상기 폐배터리와 전장품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폐배터리의 상태를 측정하는 상태 측정모듈 및 상기 외부 전력계통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해당 폐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폐배터리의 전력으로 상기 전장품을 충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상태 측정모듈에서 제공되는 측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폐배터리의 상태에 대응되게 상기 외부 전력계통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상기 폐배터리에 공급하고, 상기 전장품의 상태에 따라 상기 폐배터리에서 상기 전장품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변환하는 충방전모듈을 특징으로 한다. (국문) 본 과제(결과물)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의 연구결과입니다. (영문) Following are results of a study on the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3.0"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Portable power supply system using drone waste batteries
드론의 폐배터리를 이용한 휴대용 전력공급 시스템
2025-06-25
Patent
Electronic Resource
Korean
IPC: | B64U / H02J 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 Schaltungsanordnungen oder Systeme für die Abgabe oder Verteilung elektrischer Leistung / H01M Verfahren oder Mittel, z.B. Batterien, für die direkte Umwandlung von chemischer in elektrische Energie , 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POWER SUPPLY DRONE PORT AND POWER SUPPLY DRONE PORT SYSTEM
European Patent Office | 2025
|POWER SUPPLY DRONE PORT AND POWER SUPPLY DRONE PORT SYSTEM
European Patent Office | 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