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자동차 엠블럼의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 및 이를 이용한 모따기면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따기면에 부합하는 경사면에 날을 형성하여 모따기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경사면의 끝단에 형성한 구에 날을 형성하여 이웃하는 모따기면의 경계인 샤프 에지(shanp edge) 부분의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을 제공하며, 또한 코너 라운드를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이 결합되어 있는 공작기계에서 툴체인지 되는 엔드밀 또는 펀치에 의해 가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한 가공과 함께 평면상의 가공면을 제공하여 외관성이 우수한 자동차 엠블럼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면에 다릿발이 형성되고 바디에 고객사의 로그가 형성되도록 가공한 상태에서 로그에 부합하도록 모따기면를 가공하는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을 제공하되; 상기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은, 척에 결합되는 몸체의 하측으로 모따기면에 부합하는 각도로 형성한 제1가공날과; 상기 제1가공날의 하부에 형성되어 이웃하는 모따기면의 경계인 샤프 에지 부분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한 구형의 제2가공날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이면에 다릿발이 형성되고 바디에 고객사의 로그가 형성되도록 가공한 상태에서 로그에 부합하도록 모따기면를 가공함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의 제1가공날로 일측 모따기면을 가공하는 공정과;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의 제2가공날을 경사면에 부합하도록 외향 이동하면서 상승시켜 샤프 에지 부분을 1차 가공하고, 경사면에 부합하도록 내향 이동하면서 하강시켜 샤프 에지 부분을 2차 가공하는 샤프 에지를 가공하는 공정과;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의 제1가공날로 타측 모따기면을 가공하는 공정과; 상기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이 결합되어 있는 공작기계에서 툴체인지 되는 엔드밀로 코너 라운드를 가공하는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Zugriff

    Download


    Exportieren, teilen und zitieren



    Titel :

    Composite end mill for Automobile emblem and chamfering method using the same


    Weitere Titelangaben:

    자동차 엠블럼의 모따기용 복합 엔드밀 및 이를 이용한 모따기면 가공방법


    Beteiligte:
    LEE YANG HWA (Autor:in)

    Erscheinungsdatum :

    2023-09-19


    Medientyp :

    Patent


    Format :

    Elektronische Ressource


    Sprache :

    Koreanisch


    Klassifikation :

    IPC:    B23C Fräsen , MILLING / B60R Fahrzeuge, Fahrzeugausstattung oder Fahrzeugteile, soweit nicht anderweitig vorgesehen , 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MBLEM, AUTOMOBILE, AND EMBLEM MANUFACTURING METHOD

    NARUSE KAZUHARU | Europäisches Patentamt | 2021

    Freier Zugriff


    Manufacturing method of automobile emblem

    KIM HYEOUNG SEOP / KIM HYOUNG JIN | Europäisches Patentamt | 2019

    Freier Zugriff

    Emblem for automob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RK JAE YOUNG | Europäisches Patentamt | 2022

    Freier Zugriff

    EMBLEM FOR AUTOMOB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ARK JAE YOUNG | Europäisches Patentamt | 2019

    Freier Zugriff